오늘은 부산 사하구에 있는 2층 구조의 자동차 부품 열처리 공장에서 작업한 화장실바닥막힘 사례를 소개합니다. 이 공장은 현대, 기아 자동차에 부품을 납품하는 공장이었고, 1층 화장실 바닥 배수구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던 막힘 문제로 인해 저희에게 전문적인 해결을 요청하신 현장이었습니다.
아침 9시경, 이 공장을 관리하는 관리 직원분으로부터 전화가 왔습니다. “1층 화장실 바닥에서 물이 안 내려갑니다. 사무실 바닥으로도 물이 새고 있고, 다른 업체에서 여러 번 작업을 받았지만 너무 자주 막히다 보니 이제는 확실하게 해결해야 할 것 같아서 연락 드렸습니다.”
즉시 장비를 챙겨 현장으로 이동했습니다. 공장에 도착하니, 열처리 작업 하는 공장이었고 공장 특성상 금속분진과 기름 사용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고객 안내를 받아 1층 화장실로 이동하니 바닥은 이미 물이 가득 차 있었고, 사무실 바닥 쪽으로도 물이 스며들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에 고객에게 “혹시 이 건물은 지층이 있나요? 배관을 구조적으로 봐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라고 여쭤보니 고객께서 “지층에 배관이 있습니다. 안내해드릴게요.” 하며 지하로 안내해주셨습니다.
지층에 내려가 배관을 보니 100mm 오수관과 하수관이 1층에서 내려와 엘보로 연결되어 외부로 빠지는 구조였습니다. 다시 외부로 나가 창고 바닥 쪽 집수정 뚜껑을 열어보니, 100mm 배관 두 개가 나란히 연결되어 있었고 컴팩 내시경을 투입해 배관 내부를 확인하였습니다.
내시경 화면에는 검은 기름슬러지와 모래, 그리고 고체화된 찌꺼기가 보였고 배관 내부가 심하게 막혀 내시경조차 더 이상 들어가지 않는 상태였습니다.
“배관 안에 모래와 기름 찌꺼기가 단단하게 쌓여있어 지금은 고압세척 작업을 통해 강하게 밀고 갈아내야 할 것 같습니다.” 이렇게 설명드리자, 고객께서는 “이번에는 제발 오래 쓰게 해주세요. 이거 때문에 작업 지연도 생기고, 너무 골치 아파요.”라고 하셨습니다.
고압 장비에 호스를 연결하고 고압 세척 장비를 세팅한 뒤, 집수정 측에서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약 10미터 정도 들어가자 장비가 다시 멈추는 느낌이 들었고, 넣었다 뺐다를 반복하며 조심스럽게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퍽’ 하는 느낌과 함께 검정 모래, 기름 찌꺼기, 굳은 슬러지들이 한꺼번에 토해져 나오기 시작했고, 그 안에는 눈에 띄는 100원짜리 동전과 금속 부스러기, 오거 샤프트 파편까지 섞여 있었습니다.
“이건 아마 예전 작업 중에 다른 업체에서 장비가 부러졌는데 회수하지 못하고 그냥 두고 간 것 같습니다. 그게 계속 이물질을 걸러서 막힘을 반복한 거죠.” 고객께 직접 보여드리며 상세히 설명드렸습니다.
고객은 “아… 이게 문제였군요. 기름 찌꺼기는 어쩔 수 없다 쳐도 금속 조각까지 있을 줄은 몰랐네요. 이제야 왜 계속 막혔는지 알겠습니다.”라며 놀라워하셨습니다.
계속해서 약 30미터 가량 고압 세척 작업을 반복하고 슬러지와 고형물들을 모두 제거한 후, 배관 내부를 다시 컴팩 내시경으로 점검하니 벽면에 붙어 있던 이물질이 말끔히 제거되고, 물길도 깨끗하게 확보된 상태였습니다.
회수된 이물질은 비닐에 담아 고객께 확인시켜드렸고, 고객께서는 “이제서야 마음이 놓이네요. 지금까지 작업했던 거랑 비교가 안 됩니다.”라며 만족스러운 반응을 보여주셨습니다.
이번 화장실바닥막힘 사례처럼 공장 특성상 생기는 금속 분진, 기름 슬러지, 공사 중 유입된 이물질은 단순 통수 작업으로는 해결되지 않고, 내시경 진단과 고압세척이 병행되어야만 완전한 해결이 가능한 사례였습니다.
저희는 작업 전 배관 구조 파악과 내시경 점검, 작업 중 막힘 지점 추적과 반복세척, 작업 후 결과 공유와 고객 납득 설명까지 모든 과정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부산 사하구를 포함한 공장, 상가, 업장 등 대형 배관 막힘 문제로 반복적인 불편을 겪고 계시다면 저희 업체에 문의 주세요. 한 번의 작업으로, 확실하고 오래가는 시원한 배관 상태를 만들어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