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사례는 김해의 한 아파트에서 싱크대배관막힘으로 인해 식기세척기 사용 중 역류 현상이 발생한 사례입니다. 고객은 며칠 전부터 물이 천천히 내려가는 증상을 느끼셨고, 급기야 식기세척기 사용 중 싱크대 위로 물이 역류해 걱정이 커진 상태였습니다. 이에 남편분께서 인터넷에 나온 방법대로 과산화수소와 배수구용 약품으로 해결을 시도해보셨지만 증상은 나아지지 않았고, 결국 저희 업체에 연락을 주셨습니다.
현장에 도착해 가장 먼저 확인한 것은 싱크대 구조였습니다. 고객의 주방 싱크대는 짤순이 일체형 싱크대였고, 하부 장 내부에는 Y형 연결 구를 통해 싱크대와 식기세척기가 함께 연결된 배관 구조였습니다. 이 경우, 한 쪽에서 물이 빠지지 않으면 다른 쪽으로 역류 현상이 나타나기 쉬운 구조였습니다.
이에 먼저 싱크대 하부에 연결된 배수 호스를 분리한 뒤 내시경 장비를 배관 안으로 넣어 상태를 확인했습니다. 예상대로 배관 내부에는 기름과 음식물 찌꺼기들이 응고된 슬러지가 관 벽면을 따라 두껍게 붙어 있었고, 배관의 절반 이상이 막혀 있는 상태여서 고객께 내시경 화면을 보여드리며 “기름슬러지로 인해 배관 통수 용량이 줄어든 상태라 물 사용량이 조금만 많아져도 역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드렸고, 작업 방법은 배관 세척 작업과 함께 노후된 싱크대 호스 및 싱크 통 교체가 필요함을 안내드렸습니다.
이에 고객께서는 “식기세척기에서 이렇게 물이 올라온 적은 처음이라 놀랐다”며 빠른 조치를 요청하셨고, 바로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먼저 기존의 싱크대 통과 배수 호스를 제거하고, 새 제품으로 교체했습니다. 오래된 호스는 경화 현상으로 인해 쉽게 부서질 위험이 있었고, 실제로 호스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미세한 균열도 눈에 띄었습니다. 이후 전문 세척 장비를 사용해 배관 내부의 기름 찌꺼기를 제거하는 본격적인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102플렉스 샤프트를 사용해 슬러지를 갈아내고, 석션으로 동시에 빨아들이는 과정을 반복했습니다. 배관이 꺾인 구간에서는 이물질이 단단히 붙어 있었지만, 반복적인 세척으로 마침내 배관 끝까지 통수가 이뤄졌고, 내시경으로 재 확인한 결과 관 내부가 말끔히 정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작업이 완료된 뒤 고객께 배관 내시경 화면을 다시 보여드렸고, 새로 교체된 싱크대 통과 호스를 통해 물을 내려보며 “이제는 식기세척기를 사용해도 역류 걱정 없이 안심하셔도 됩니다”라고 안내해드렸습니다. 고객께서도 “속이 다 시원하다”며 두유 하나를 건네주시며 고생했다고 인사해 주셨습니다.
기름슬러지는 시간이 지날수록 천천히 쌓이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막힘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식기세척기, 음식물 분쇄기 등을 함께 사용하는 주방은 이물질 유입량이 많아 배관 관리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단순한 통수 작업이 아닌, 배관 상태에 맞는 세척 방식으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싱크대나 배수 관련 문제가 발생하면, 혼자 해결하려 무리하게 작업하기보다는 내시경을 통한 진단 후 적절한 방법으로 안전하게 처리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저희는 이러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 한 분 한 분의 고민을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해 드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싱크대 배관이나 역류 문제로 불편을 겪고 계시다면 언제든지 저희 업체에 문의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