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8시가 조금 지난 시간,
남성 고객으로부터 급한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싱크대 물이 안내려가는데
혹시 오늘 바로 작업 가능할까요?"
가능하다고 답변드린 후, 바로 현장으로 출발했습니다.
현장에 도착해 고객을 만나보니
건물은 지상 3층 규모의 주상복합 건물이었고
고객님은 최상층인 3층에 거주하고 계셨습니다.
\"고객님, 정확한 상황 설명 부탁드릴게요."
"싱크대 물이 안내려가서요,
음식물 처리기 고장인 줄 알고 어제 A/S 불렀어요.
그런데 A/S 기사님이 음식물 처리기는 문제 없고
하수구가 막힌 것 같다고 해서요."
고객님의 설명을 듣고
"일단 점검 먼저 진행해보겠습니다"라고 안내드렸습니다.
석션 장비를 이용해 음식물 처리기와 연결된 배관을
먼저 간단히 작업한 후, 내시경 카메라를 넣어 확인했습니다.
배관 내부를 살펴보니 구조는 P트랩 형태였고,
배관 안쪽에는 기름 찌꺼기와 이물질이 가득 쌓여 있었습니다.
"고객님, 이건 음식물 처리기 사용하면서
기름 슬러지와 찌꺼기가 트랩에 쌓인 것 같습니다."
"아래층 공실인데요, 혹시 아래서 작업하면 해결될까요?"
"네, 그 방법이 가장 확실합니다."
고객님의 요청에 따라 아래층으로 내려가
배관 구조를 다시 한번 꼼꼼히 확인했습니다.
P트랩 구조가 맞았고, 배관 구배도 썩 좋지 않았습니다.
"고객님, 배관 경사가 부족해서
이물질이 쉽게 쌓이는 구조입니다."
"건물 준공한지 5년밖에 안 됐는데
배관 구조 듣고 나니 속상하네요."
"고객님, 걱정하지 마세요.
처음처럼 깨끗하게 복구해드리겠습니다."
격려와 함께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먼저 소재구 보양 작업을 진행해 바닥 오염을 방지하고
소재구를 열어 내부 이물질을 제거했습니다.
그 후 고객님의 집으로 올라가 전문 장비를 이용해
배관 안쪽까지 세척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이후 2층 공실로 다시 내려가
공용관 방향으로도 꼼꼼히 배관 세척을 진행했습니다.
세척이 완료된 후 소재 구를 깨끗이 닫고
다시 고객님 세대로 올라와 최종 점검을 시작했습니다.
싱크대 물을 틀어 충분히 흘려 보내고,
싱크대 통에 물을 가득 담은 뒤
한 번에 내려보내 누수와 막힘 여부를 확인했습니다.
"이제 물도 시원하게 잘 내려가네요!"
"고객님, 이제 정말 문제 없습니다."
"고생 많으셨습니다.
속이 다 시원합니다!" 하시며
고객님께서 엄지척을 해주셨습니다.
저도 흐뭇한 마음으로 장비를 정리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작업을 마무리했습니다.
주상복합 건물이나 고층 건물의 싱크대 막힘 문제는
음식물 찌꺼기, 기름 슬러지, 배관 구조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음식물 처리기를 설치한 경우에는
트랩이나 배관 안에 오염이 더 빠르게 진행되기에
정기적인 점검과 세척이 필수적입니다.
이처럼 싱크대 막힘이나 하수구 역류 문제가 발생하면,
이러니 저희 업체로 전화 상담 주세요.
전문 장비와 세심한 작업으로
처음처럼 깨끗하게 해결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