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일찍, 창원에 거주 중인
남성 고객의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욕실 바닥에서 물이 넘치고 있어요.
혹시 바로 오실 수 있나요?”
긴급한 상황이라 장비를 챙겨
바로 현장으로 이동했습니다.
현장에 도착하니 해당 건물은
5세대가 거주 중인 2층 다세대 주택이었고
1층 출입문 앞에서 고객에게 전화를 드렸습니다.
잠시 후 남성 고객께서 나와 주셨고
막힌 위치를 여쭤보니
“1층 거실 화장실이에요. 안에 보시죠.”
라고 하시며 안내해 주셨습니다.
화장실로 들어가 확인해보니
바닥에는 물이 고여 있었고
물이 전혀 빠지지 않는 상태였습니다.
“혹시 집수정이나 오수받이 위치를
알고 계실까요?”라고 여쭈니
“정원 쪽에 있어요. 같이 가보시죠.”
라며 안내해 주셨습니다.
정원 쪽 집수정을 열어 내시경을 넣고
배관 상태를 확인해보니
약 15미터 구간까지는 이상이 없었지만
엘보 구간이 많아서 그런지
더 이상 장비가 진입하지 못했습니다.
이에 “고객님에게 배관은 100미리 PVC이고
길이가 길고 굴곡이 많아
고압 세척 장비로 작업해야 할 것 같습니다.”
라고 설명드리자 고객께서
“10년쯤 살았는데 한번쯤은 해야 한다고
생각하던 참이었어요.
깨끗하게 작업해주시고
배관 구조도 정확히 설명해주세요.”
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고객님의 작업 요청에 집수정에서 고압 장비를 투입해
약 25미터 정도 세척 작업을 진행했지만
엘보 구간에서 장비 진입이 막혀
거실 화장실에서 방향을 바꿔
다시 고압 세척을 진행했지만
이 역시 약 15미터 지점에서 중단되었습니다.
진입이 어려운 구조라 판단하여
204플렉스 샤프트 장비로 전환했고
좌측 방향으로 진입하니
102호 쪽 배관에서 장비가 나왔습니다.
장비를 회수한 뒤 이번에는
우측 방향으로 작업하니
막힘이 해소되며 물이 빠지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정확한 배관 구조 파악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102호 세면대에서 물을 틀어 확인하니
거실 화장실 바닥 좌측에서 우측으로
물이 흐르는 모습이 확인되었습니다.
물을 끄고 화장실 바닥에서
내시경을 우측으로 넣어
배관을 추적하니
두 번 수직으로 내려간 후
시멘트와 이물질이 가득 찬 부위가 보였습니다.
관로 측정기로 해당 위치를 확인하니
건물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아래 창고 바닥 부근으로 추정되어
고객께 해당 위치에도 집수정이 있는지 여쭤보았습니다.
고객께서는 “예전에 정원에 나무 심을 때
배관을 본 적 있어요.”라며
삽을 들고 정원 쪽을 파시더니
20cm 아래에 묻힌 배관을 찾아주셨습니다.
해당 지점을 타공하니
배관 안에 물이 가득 차 있었고
석션 장비로 이물질과 고인 물을
최대한 제거한 후
하수구에서 들어오는 방향과
집수정으로 나가는 방향 모두
204플렉스로 갈아내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이후 고압 세척 장비로
막힌 구간을 정면으로 세척하니
이물질이 쏟아져 나왔고
마지막으로 내시경을 투입해 확인해보니
배관 내부는 깨끗하게 정리된 상태였습니다.
고객께 내시경 화면을 보여드리며
배관 구조를 설명드렸습니다.
“102호 화장실에서 시작된 배관이
거실 화장실을 지나 건물을 둘러
집수정까지 연결돼 있고,
가장 가까운 곳인 거실 화장실이
막히며 물이 역류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제야 배관 구조가 이해되네요.
추운 날씨에 오래 작업하시느라
정말 고생 많으셨어요.”
라고 말씀하시며 따뜻한 커피 한 잔을
직접 건네주셨고,
감사한 마음으로 장비를 정리한 후
기분 좋게 작업을 마무리했습니다.
배관은 구조와 구배에 따라
같은 이물질이라도 쉽게 막힐 수 있습니다.
특히 굴곡이 많거나 수직구간이 반복되면
정확한 진단 없이는 해결이 어렵습니다.
이처럼 하수구 막힘이나 구조 문제로
불편을 겪고 계시다면,
이러니 저희 업체로 전화 주세요.
내시경 진단과 고압 세척, 구조 설명까지
확실하게 해결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