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구하수구막힘 상가 독서실 이물질로 인한 막힘 해결

DATE
April 21, 2025
BY
홍반장
오늘은 수영구에 위치한 4층 상가 2층 독서실에서 진행한 하수구 막힘 작업 사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점심시간이 막 끝나갈 무렵,
한 남성 고객으로부터 “여자 화장실 바닥에 물이 전혀 내려가지 않는다”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곧장 현장으로 이동했고, 고객을 만나 정확한 위치와 증상을 설명들었습니다.
고객은 독서실 운영자였고,
평소에는 조용히 사용되던 화장실 바닥이 갑자기 역류 증상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하셨습니다.

이에 우선 화장실 바닥의 트렌지에 내시경 카메라를 투입해 내부를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배관이 예상과 달리 화장실 바닥에서 휴게실 싱크대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였습니다.
이 경우, 막힌 지점을 바로 찾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우선 석션 장비를 활용해 바닥에 고여있던 물을 최대한 제거하고,
다시 배관을 살펴보기로 했습니다.

먼저 물을 제거하고 내시경으로 다시 관찰해보니,
배관은 50mm PVC 배관이 T자 형태로 분기되어 있었고,
화장실 바닥과 싱크대 배관이 하나의 메인 수직 관으로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문제는, 메인 수직 관이 장비 진입 방향과 역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
위쪽에서 일반적인 방식으로는 작업이 쉽지 않은 구조였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혹시 아래층에서 더 편하게 접근이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1층 피자 가게 점주에게 양해를 구하고 천장 점검을 진행했습니다.
그러나 아래층에서는 남자 화장실 배관만 보일 뿐,
이번 막힘과 관련된 화장실 바닥 배관과 싱크대 배관은
신규로 매립된 구조로 판단되어 배관이 보이질 않았습니다.
결국 다시 2층에서 작업을 진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번에는 내시경 카메라를 실로 연결하고,
그 경로를 따라 102플렉스 샤프트 장비를 투입해보았지만,
수직관의 꺾임이 심해 기계가 진입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16mm 스프링 장비로 작업 방향을 전환했고,
내시경으로 실시간 확인하며 메인 수직 관을 타고 약 10미터 가량을 조심스럽게 밀어 넣었습니다.
여러 번 스프링을 넣었다 빼는 과정을 반복한 끝에 막힌 구간을 통과하면서
‘훅’ 하는 느낌과 함께 통수
가 되었습니다.
이 후 스프링을 회수하던 중,
안에서 파란색 플라스틱 트랩 조각이 딸려 나왔고,
이를 고객에게 직접 보여드리며 막힘의 원인을 설명드렸습니다.

최종적으로 화장실 바닥과 휴게실 싱크대의 물을 동시에 틀어
10분가량 배관 통수 상태를 체크했으며,
이상 없이 원활하게 배수가 되는 것을 고객 앞에서 확인해 드리고
장비를 정리하며 고객과 함께 마무리 점검을 한 후,
막힘 재발 가능성과 예방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안내드리고 작업을 마무리했습니다.

이번 현장은 T 자 구조 배관, 역방향 메인 수직관, 트랩 이물질,
그리고 하부 접근 불가 구조라는 여러 가지 변수로 인해
단순해 보였지만 전문적인 진단과 장비 운용이 반드시 필요한 사례였습니다.
이렇게 하수구 막힘은 겉보기에는 간단해 보여도,
배관 구조와 상태에 따라 작업 접근 방식이 전혀 달라지며
무리한 작업은 2차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도 동반합니다.
이럴 땐 저희처럼 내시경 장비와 다양한 장비를 갖추고,
경험이 풍부한 전문업체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하수구, 화장실, 싱크대, 배관 막힘 문제로 고민 중이시라면,
부산·김해 지역 전역 신속하게 출동하는 저희 업체에 문의 주세요.
현장 상황에 맞는 가장 정확하고 깔끔한 해결 방법을 제시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으로